 |  |
|
ⓒ (주)백제신문 |
이메일 명세서를 빙자한 ‘피싱’ 사기가 활개, 경찰과 시중은행들이 몸살을 앓고 있다.
종이명세서 대신 이메일명세서를 이용하는 은행고객이 늘고 있다는 점을 악용한 신종 피싱 사기다.
범행 방법은 간단하다. 카드사나 은행을 사칭해 이메일 명세서란 제목으로 악성코드가 담긴 압축파일을 무작위로 발송한 뒤 수신자가 이 압축파일을 열면 개인정보를 순식간에 빼내는 방법이다.
은행들은 고객들에게 금융사기에 주의하라는 메일을 보내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제도적인 해결책이 없어 한계를 느끼고 있다.
우리은행은 고객들에게 “이메일명세서 피싱사기 예방법”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일일이 전송했다. 하나은행도 스미싱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는 공지문을 홈페이지에 게재하는 등 피싱사기 주의를 당부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메시지 발신번호를 은행 전화번호로 조작하는 것을 막는 등 해결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남지방경찰청 관계자는 “금융회사 홈페이지 등에서는 전체 보안카드 번호 입력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인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