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충남도청 개청식에서 안희정 도지사와 시군 단체장들이 떡케익을 절단하고 있다 |
ⓒ (주)백제신문 |
|
충남도청이 80년 만에 대전에서 홍성·예산 인근 내포신도시로 이전한지 지난 10일로 100일을 맞았다.
박근혜 대통령과 5천여명의 도민이 참석한 개청식을 성대히 치러 ‘돛달고 순항’하는 모양새이지만 기반시설 부족에 따른 불편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10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 4일 현재 내포신도시 총 공정률은 45.4%로 예산과 홍성에서 내포신도시로 진입하는 지방도 609호선의 확장·포장 공사가 완료됐다. 행정타운 주변의 완충녹지 조성과 이주자택지 진입도로 포장, 홍북면 진입도로 골재 포설 등도 마무리됐다.
도청사 옆에 짓는 충남지방경찰청사는 70.6%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고, 이전을 마친 충남도교육청은 정상적으로 업무를 보고 있다.
극동아파트와 효성아파트, LH보금자리 주택, 충남개발공사 임대 빌딩 조성 공사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도청 직원들은 내포신도시와 홍성·예산지역에 속속 자리를 잡고 있다.
도 본청 소속 1천317명의 직원 가운데 대전에서 내포신도시까지 출·퇴근 버스를 이용하는 직원은 올해 초 하루 평균 600여명에서 400여명으로 200여명이 줄었다. 이곳으로 이주한 직원에게 지원하는 이사비를 받은 직원은 모두 330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홍성지역 인구도 도청이 이전하기 전인 지난해 11월 말 8만8천21명에서 지난 3월 말 현재 8만9천174명으로 1천153명이 늘었다.
도청을 따라 함께 이주한 이전 기관·단체는 지난 2월 말 현재 42개로 상주 직원 수는 2천165명으로 분석됐다.
지난 4일 ‘행복 충남 새로운 100년을 여는 날’을 주제로 열린 개청식에는 5천여명이 참석해 ‘충남의 새출발’을 축하했다.
이날 안희정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충남은 공주 시대와 대전 시대 117년 동안 식민통치와 해방, 분단과 전쟁을 이겨내고, 농업국가의 중심이자 산업 발전의 중심지로, OECD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전 과정에서 대한민국의 중심이었다”며 “내포 시대 새로운 100년은 세계경제를 이끄는, 환황해 경제권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지사는 또 “충남도는 내포시대 개막을 계기로 해양강도로써의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내포신도시를 충남 서북부권과 내륙지방 균형발전의 중심지로 만들어 나가겠다”며 “새로운 100년, 미래의 꿈을 안고 출발하는 충남도와 내포신도시에 대한 큰 격려 바란다”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충남은 대한민국의 중심으로 지역 균형 발전과 국민 통합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다해왔다”며 “신청사 개청을 계기로 행정 서비스와 도민 삶의 질을 높이고, 서해안 시대 중심이자 최적의 거점으로 더 크게 도약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중국과 가장 가까운 서해안을 안고 있는 충남은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정부는 충남을 대한민국 성장 동력의 핵심지역이자 물류의 중심으로 육성해가겠다”고 강조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지방 나들이에 나선데다 현직 대통령의 첫 자치단체 청사 개청식 참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달랐다.
맹부영 도 공보관은 “지난 100일 동안 내포신도시는 큰 탈 없이 성공적으로 정착해 가는 것으로 평가된다”면서 “로드맵대로 진행되면 2020년 인구 10만의 명품 도시가 눈앞에 펼쳐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식당이나 상점, 병원, 약국 등 내포신도시 내에 편의시설이 거의 없어 이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이 지속되고 있는 점이 아쉬운 대목이다.
홍성군 홍북면과 예산군 삽교읍 일원에 들어선 내포신도시는 993만8천㎡에 2020년까지 1조9천859억원이 투입돼 인구 10만명(3만8천500가구) 수용 규모로 조성된다.
내포신도시 내 14만㎡의 부지에 조성된 충남도청은 본관과 의회, 별관, 문예회관 등 4개의 건물로 구성돼 있다.
내포지역신문협회 차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