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치·행정 지방자치

도의원 ‘지선 갈림길’ 진로 고심

이인식 기자 입력 2013.04.04 14:11 수정 2013.04.11 02:11

도의회 재진출-자치단체장 도전 갈등…정당공천제 폐지·지역구도 변수 촉각

내년 6월 치러지는 차기 지방선거를 앞두고 강원도의회 의원들이 ‘갈림길’에서 고심하고 있다.
1일 도정치권과 도의회에 따르면 상당수의 도의원들은 도의회 재진출과 지방자치단체장 도전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

이미 각 지역에서는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무소속을 막론하고 시장·군수 후보군으로 분류되고 있는 도의원들이 상당수다.

지난 2월 백제신문사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도의원 대상 설문조사에서 초선 의원 17명을 포함한 24명이 ‘도의원 직에 재도전하겠다’고 답했고, 6명의 의원만이 ‘시장·군수 등 자치단체장 출마’를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의원들이 자치단체장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것이 각 정당을 비롯한 지역 정치권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초선 의원 중에서도 당내 경쟁자가 적거나 사회 활동 등을 통해 지역 내 인지도를 충분히 쌓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체장에 도전장을 내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재선이나 3선 의원들의 고민은 더욱 깊다.

단체장 출마를 권유받거나 그럴 계획이 있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차기 지방선거에서 도의회에 다시 진출할 경우 의장이나 부의장, 상임위원장 등 의장단에 진출해 경력을 더욱 탄탄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에게는 기초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정당공천제 폐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다.
공천제 폐지가 현실화 될 경우 현 시장·군수들이 현역 프리미엄 효과를 누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만큼 도의원에 재도전해 입지를 다진 후 다음 기회를 노릴 가능성도 높다.

한 도의원은 “일단 도의회 의정생활에 충실하면서 의회에 다시 진출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고 있지만 지역 구도가 어떻게 형성되느냐에 따라 단체장 출마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도내 한 정당 관계자는 “대부분 당 소속 도의원들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장 후보로 분류할지, 도의원 후보로 분류할 지 후보군 설정을 아직 못하고 있다”며 “어떤 직에 도전하든 상관없이 지금은 지역 내 평판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인식 기자


저작권자 뉴스청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